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35

차이코프스키는 안토니니와의 불행한 결혼이 이혼으로 끝나자, 1877년 지친 심신을 달래고자 이탈리아와 스위스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 이때 작곡된 것이 바로 이 바이올린 협주곡이다.
곡을 작곡하여 당시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이자 당대의 명바이올리니스트인 레오폴드 아우어에게 바쳤다. 그러나 악보를 본 아우어는 연주 기술상 연주 불가능이라는 치욕적인 판정을 내리게 된다.
이러던 차에 라이프치히 교수인 아돌프 브로스키가 이 작품에 흥미를 가지고 1881년 빈에서 대지휘자 한스 리히터와 연주회를 열지만, 불성실한 반주 덕택에 영 시원치 않았고, 역시 비평가 한슬릭의 혹독한 악평도 받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로스키는 이에 굴하지 않고 연주여행시 계속적으로 꾸준히 연주를 하게 되고, 결국 곡의 우수성을 인정받기에 이른다. 그래서 헌정도 아돌프 브로스키에게 이루어졌다.
이에 아우어도 결국은 이 곡이 우수성을 자인하여 직접 연주하기에 이른다. 참으로 오랜 세월 의 시련을 감수한 명곡의 탄생이었다. 더불어 이 곡은 베토벤, 브람스, 멘델스존의 작품과 견줄 만 한 명곡으로 평가받기에 이른다.
생각해보면 차이코프스키만큼 초연 당시 말썽이 많았던 사람도 없을 것이다. 하나 더 재미있는 사실은 한슬릭이 이 곡을 비평한 이유가 다름아닌 “싸구려 워카 냄새가 난다” 였는데, 이 말처럼 이 곡을 적절히 표현한 것은 없었던 것이며, 나아가 이런 강렬한 러시아의 체취가 없다면 무엇이 남겠는가. 바로 이것이 이 곡의 최대 매력이다.
연주 불가능의 판정이 말해주듯, 화려하고 난해한 기교와 러시아적인 애수를 간직한 이 곡은 정말로 차이코프키의 음악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1악장의 박진감의 진행도 멋있지만 특히 2악장 칸초네타의 아름다움은 각별한 감흥을 전해주는 명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명곡의 명연은 너무도 유명한 당대의 두 거장인 오이스트라흐와 하이페츠가 양분하고 있다 할 만큼 정평 있는 명연주를 남기고 있다.
먼저 오이스트라흐이다. 그는 여러 연주를 남 겼는데, 콘비츠니(DG, 1954)와 오먼디(SONY, 1959), 콘드라신(MELODIYA, 1958)과의 연주 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여러 녹음이 있기는 하 나 실황 연주들이다. 이중 로제스트벤스키과의 60회 생일 기념음악회 실황은 조금은 딱딱한 반주와 거칠은 표현에도 불구하고 대단한 정열을 가진 명연주이다.
오먼디와의 연주는 안정된 기교와 관현악이 조화를 이룬 대표적인 명연의 연주이다. 콘비츠 니와의 연주는 비록 모노이지만 젊은 시절의 생생한 기교와, 오이스트라흐만의 특유의 어법이 잘 나타난 명연으로 추천할 만하다. 어느 연주 건 웅장한 사운드와 아름다운 서정이 잘 나타난 오이스트라흐의 연주는 이 곡의 대표적인 명연으로 자리하고 있다.
굳이 하나를 고르자면 로제스트벤스키와의 연주를 추천한다.
한편, 하이페츠는 모노 시절 바비롤리와의 연 주(RCA/EMI, 1937)와 1950년 연주(RCA)도 있으나, 라이너와의 연주가 더욱 완성도 높은 스테레오 시대의 명연이다. 신출귀몰하는 기교가 놀라움을 전해주며, 그 긴박감 넘치는 열정은 눈이 부실 지경이다.
간혹 이런 연주 탓에 너무 차갑다는 이견도 있으나, 차이코프스키의 차디찬 감성을 생각하건대 결코 과하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는다. 오이스트라흐의 해석과는 그 길을 달리하지만, 그 완벽성에는 더 이상의 칭찬이 무의미한 명연주라 할 것이다.

 

 

차이코프스키- 정경화

 

정경화는 매우 괄목할 만한 명연을 남기고 있다. 그녀의 데뷔 음반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던 명 연주이다. 조금은 선이 조금은 가늘기도 하나 그 정열적인 표현에는 무서운 감각이 숨쉬고 있다. 더욱이 프레빈의 반주는 바이올린을 완벽히 받쳐 주면서도 관현악적인 풍부한 울림으로 이 연주를 더욱 빛나게 하고 있다. 반주만을 놓고 볼 때 최고라 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명연주이다. 다만 신녹음인 뒤트와와의 연주(DECCA, 1981)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그 수준이 많이 떨어지는 연주이다. 코간, 캄폴리, 헨델 등의 대가급의 연주는 평범한 수준이다. 신예로서는 뮬로바, 벤게로프, 조세 포비치, 케네디, 크레머 등이 있으나, 위의 오이스트라흐나 하이페츠에는 미치지 못한다.
신동 장영주의 연주(EMI, 1992)는 천재적인 기량이 돋보이는 호연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현대 주자들 중에는 길 샤함과 시노폴리의 연주 (DG, 1991)가 비교적 돋보이는 연주로 무척 훌 륭한 연주를 펼쳐 보이고 있다.
밀스타인과 아바도의 연주(DG, 1972)는 엉성 한 반주와 거친 표현으로 아쉬움이 있으나,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하는 이색적인 연주이다.
조금 색다른 연주라면 숨겨진 명인인 티보 바 르가의 두텁고 질감에 넘치는 연주가 주목할 만하다. 단지 반주가 엉성하여 조금… 명연의 길은 역시 험난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음반 선택의 차례이다. 오이스트라흐와 하이페츠는 우열을 가린다기보다는 서로 다른 해석의 최고의 명연주들이라고 하겠다. 더불어 정경화의 무서운 호연도 흐뭇한 명연으로 위치하고 있다.

Leave a Comment